에드바르 그리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드바르 그리그는 1843년 노르웨이 베르겐에서 태어난 작곡가이자 피아니스트이다. 라이프치히 음악원에서 수학했으며,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활동하며 민족주의적 음악 사상을 갖게 되었다. 그리그는 사촌 니나 하게루프와 결혼했으며, 피아노 협주곡 A단조, 페르 귄트 모음곡, 서정 소곡집 등 다양한 작품을 남겼다. 그의 음악은 노르웨이의 민족적 색채와 낭만주의적 특징을 잘 나타내며, 1907년 베르겐에서 심부전으로 사망했다. 그의 유산은 음악 외에도 천문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기리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에드바르 그리그 - 트롤하우젠
트롤하우젠은 노르웨이 작곡가 에드바르드 그리그가 거주하며 창작 활동을 한 곳으로, 현재는 박물관으로 운영되며 그의 삶과 음악을 기리는 공간이자 많은 방문객이 찾는 명소이다. - 스코틀랜드계 노르웨이인 - 마르그레트 에이릭스도티르
마르그레트 에이릭스도티르는 노르웨이 국왕의 딸이자 스코틀랜드 왕위 계승자였으나, 어린 나이와 지리적 제약으로 잉글랜드의 영향력 확대 시도와 결혼 추진이 있었고, 스코틀랜드로 향하던 중 사망하여 스코틀랜드 왕위 계승 문제와 스코틀랜드 독립 전쟁의 원인이 되었다. - 노르웨이의 클래식 작곡가 - 요한 할보르센
노르웨이 작곡가, 지휘자, 바이올리니스트인 요한 할보르센은 뛰어난 바이올린 실력으로 노르웨이 음악계의 중요 인물이 되었으며, 오슬로 국립극장 오케스트라 지휘, 오페라 공연 지휘, 극 부수 음악 작곡 외에도 교향곡과 랩소디를 작곡했고, 국민 낭만주의 전통을 계승한 독창적인 관현악법으로 잘 알려져 있다. - 노르웨이의 클래식 작곡가 - 요한 스벤젠
요한 스벤젠은 19세기 후반 노르웨이 출신으로 낭만주의 시대의 특징을 보여주는 섬세하고 서정적인 선율과 풍부한 관현악 기법, 민족주의적 색채를 가진 작품을 작곡했으며 유럽 각지에서 오케스트라 지휘와 코펜하겐 왕립 극장 오케스트라의 수석 지휘를 맡아 덴마크 음악 발전에 기여한 작곡가이자 지휘자이다.
에드바르 그리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 이름 | 에드바르 하게루프 그리그 |
출생 | 1843년 6월 15일, 베르겐 |
사망 | 1907년 9월 4일, 베르겐 |
직업 | 작곡가, 피아니스트 |
배우자 | 니나 그리그 (1867년 결혼) |
학력 | |
교육 기관 | 라이프치히 음악원 |
음악 스타일 | |
장르 | 국민악파 |
악기 | 피아노, 지휘 |
관련 정보 | |
영향 | 국민악파 |
기념 | 그리그 홀 (베르겐 콘서트홀) 그리그 아카데미 (베르겐 대학교 음악 학부) 에드바르 그리그 박물관 트롤드하우겐 (박물관) 에드바르 그리그 코어 (합창단) |
2. 생애
에드바르 그리그의 가문은 증조부 대에 스코틀랜드에서 노르웨이 베르겐으로 이주했다.[39] 원래 성은 그레그(Greig)였으며, 스코트인 씨족 중 하나인 그레고어와 관련이 있다.[40] 1746년 스코틀랜드에서 벌어진 컬로덴 전투 이후, 그리그의 증조부 알렉산더 그레그는 여러 나라를 돌아다닌 뒤 1770년경에 노르웨이에 정착했다.[41][42]
아버지 알렉산더 그리그(1806년–1875년)는 상인이자 베르겐 주재 영국 부총영사였으며, 어머니 게신 주디테 하게루프(1814년–1875년)는 변호사이자 정치가였던 에드바르 하게루프의 딸이자 피아니스트 겸 음악강사였다. 그리그는 어머니에게서 처음 음악 교육을 받았다.[39]
15세 때 독일에 유학하여 라이프치히 음악원에 입학, 이그나츠 모셸레스, 카를 라이네케 등에게 음악을 배웠다. 졸업 후 스칸디나비아반도로 돌아와 요한 페테르 에밀리우스 하르트만과 닐스 가데를 알게 되었고, 리카르드 노르로크와 만나 민족주의적인 음악 사상을 품게 되었다.
1867년 사촌 누이이자 가수인 니나 하게루프와 결혼하여 귀국, 노르로크와 협력하여 1869년 오슬로에 음악협회를 설립, 1880년까지 지휘를 맡았다. 그사이 민족색이 풍부한 명곡을 차례로 발표했다. 1880년 이후에는 고향인 베르겐으로 돌아와 작곡에 전념하였다.
만년에는 학생 시절 앓았던 폐병이 재발하여 1907년 64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유골은 작업장 아래에 있는 피오르의 벽면 우묵하게 들어간 곳에 안치되었다.
2. 1. 초기 생애
에드바르 그리그는 1843년 6월 15일 스웨덴-노르웨이 연합 시기 노르웨이 베르겐에서 태어났다. 그의 집안은 스코틀랜드계 이민자 가문으로, 원래 성은 그레이그(Greig)였다.[7] 아버지 알렉산더 그리그는 상인이자 베르겐 주재 영국 부영사였고, 어머니 게신 주디테 하게루프는 피아니스트이자 음악 교사였다. 그리그는 어머니에게 처음 음악 교육을 받았다.[6]15세 때, 그리그는 저명한 노르웨이 바이올리니스트 올레 불의 권유로 독일 라이프치히 음악원에 입학하여 이그나츠 모셸레스, 카를 라이네케 등에게 음악을 배웠다.[12]
2. 2. 음악 활동
1863년, 그리그는 덴마크 코펜하겐으로 가서 3년 동안 머물렀다. 그는 덴마크 작곡가 J. P. E. 하르트만과 닐스 가데를 만났다. 또한 동료 노르웨이 작곡가 리카르 노르드라크(노르웨이 국가 작곡가)를 만나 친구가 되었고, 그에게서 영감을 얻었으며, 노르로크와의 만남으로 민족주의적인 음악 사상을 가지게 되었다.[17] 노르드라크는 1866년에 사망했고, 그리그는 그를 기리는 장례 행진곡을 작곡했다.[17]1867년 6월 11일, 그리그는 사촌이자 서정적 소프라노인 니나 하게루프(1845–1935)와 결혼했다.[39] 이후의 가곡은 거의 니나를 위해 작곡되었다. 이듬해, 그들의 외동딸 알렉산드라가 태어났으나, 1869년 수막염으로 사망했다. 1868년 여름, 그리그는 덴마크에서 휴가를 보내면서 피아노 협주곡 A단조를 썼다. 에드문트 노이페르트는 1869년 4월 3일 코펜하겐의 카지노 극장에서 이 협주곡을 초연했으나, 그리그는 크리스티아니아(현재 오슬로)에서의 지휘 약속 때문에 참석할 수 없었다.[18]
1869년 오슬로에 음악협회를 설립하고 1880년까지 지휘를 맡았다.
1868년, 프란츠 리스트는 그리그를 만나기 전에 노르웨이 교육부에 그에 대한 추천서를 썼고, 그 결과 그리그는 여행 보조금을 받게 되었다. 두 사람은 1870년 로마에서 만났다. 그리그의 첫 방문에서 그들은 그리그의 바이올린 소나타 1번을 검토했는데, 리스트는 이를 매우 기뻐했다. 4월의 두 번째 방문에서 그리그는 피아노 협주곡의 악보를 가져왔고, 리스트는 이를 초견으로 연주했다(오케스트라 편곡 포함). 리스트의 연주는 청중에게 깊은 인상을 주었지만, 그리그는 그에게 첫 악장을 너무 빨리 연주했다고 부드럽게 말했다. 리스트는 또한 그리그에게 오케스트레이션에 대한 조언을 해주었다(예를 들어, 첫 악장의 두 번째 주제의 멜로디를 솔로 트럼펫으로 연주하도록 하는 것).[19]
1870년대에 그는 노르웨이 자치에 대한 관심을 공유한 시인 비에른스티에르네 비에른손과 친구가 되었다. 그리그는 그의 시 중 일부를 음악으로 만들었는데, 여기에는 ''Landkjenning''과 ''Sigurd Jorsalfar''가 포함된다.[20] 그들은 올라프 트뤼그바손 왕을 주제로 한 오페라를 만들기로 결정했지만, 음악과 가사 중 무엇을 먼저 만들 것인가에 대한 논쟁으로 인해 그리그는 헨리크 입센의 연극 ''페르 귄트''를 위한 부수 음악 작업에 전념하게 되었고, 이는 비에른손의 감정을 상하게 했다. 결국, 그들의 우정은 회복되었다.[21]
작가의 요청으로 ''페르 귄트''를 위해 작곡된 부수 음악은 작품의 성공에 기여했으며, 오케스트라 모음곡으로 편곡되어 작곡가의 가장 친숙한 음악이 되었다.
그리그는 베르겐 필하모닉 오케스트라(Harmonien)와 긴밀한 관계를 맺었고, 1880년부터 1882년까지 오케스트라의 음악 감독을 역임했다. 1888년, 그리그는 차이콥스키를 라이프치히에서 만났다. 그리그는 차이콥스키에게 깊은 인상을 받았고,[22] 차이콥스키는 그리그의 음악을 매우 높이 평가하며, 그의 아름다움, 독창성, 따뜻함을 칭찬했다.[23]
2. 3. 말년
1901년부터 건강 상태가 점차 악화되었다. 1903년 파리의 피아니스트 라울 푸뇨의 권유로 그라모폰사에 레코드를 녹음하여 몇 곡의 자작곡을 녹음했다. 푸뇨가 권유하지 않았다면, 이 거장의 자작 연주를 들을 수 없었을 것이다.[45]1905년 노르웨이 독립을 지켜본 후, 1906년 다시 파리에서 그라모폰사에 레코드를 녹음하여 총 9곡의 자작 연주 레코드를 남겼다. 1907년 심부전으로 베르겐 시내 병원에서 64세의 나이로 사망하여, 레코드 녹음과 자동 피아노 녹음은 간신히 이루어졌다.[45]
3. 작품 세계
표트르 차이콥스키, 안토닌 드보르자크와 같이 웅장한 스타일의 작곡가는 아니었지만, 그리그는 섬세한 서정시와 같은 음악을 만들었다. 오페라를 한 곡도 완성하지 못했고, 유일한 교향곡인 교향곡 다단조는 작곡가 자신이 연주를 금지하여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 소나타 형식을 사용한 대작에서도 큰 성공을 거두지 못했으며, 구성력이나 주제를 논리적으로 발전시키는 데 약점이 있었다. 예외적으로 피아노 협주곡 A단조(1868)는 25세의 젊은 시절 작품으로 성공을 거두었다.
그리그는 평생 동안 가곡을 꾸준히 작곡하여 그의 예술 세계를 잘 보여준다. 가곡 외에도 피아노 소품, 특히 10권 66곡으로 구성된 서정 소곡집이 중요하다. 관현악곡 중에서는 서정 소곡집의 일부를 편곡한 서정 모음곡(1891), 헨리크 입센의 희곡에 곡을 붙인 페르 귄트 모음곡(1874-1875) 등이 성공적이었다. 실내악곡 중에서는 제3바이올린 소나타(1878)가 자주 연주되는데, 이 곡은 노르웨이의 노래와 춤을 연결한 듯한 느낌을 준다.[1]
그는 생전에 뛰어난 피아니스트로도 명성을 얻었으며, 자신의 곡을 가지고 유럽을 여러 차례 연주 여행했다. 만년에는 축음기 어쿠스틱 녹음과 자동 피아노 피아노 롤에 녹음했는데, 현재 CD로도 구할 수 있다. 오리지널 SP반[36]은 골동품으로 고가에 거래된다. 작품 번호가 붙지 않은 교향곡은 요한 스벤센의 교향곡을 듣고 봉인했다는 일화가 있다.
그리그는 "북유럽의 쇼팽"이라고 불릴 정도로 피아노 소품을 많이 작곡했으며, 피아노와 바이올린을 위한 소나타도 3곡 남겼다.[1] 헨리크 입센의 희곡 『페르 귄트』의 부수 음악과 피아노 협주곡 가단조는 일본에서 특히 유명하다.[1] 서정 소곡집과 가곡 등 소품에서 그의 재능이 돋보이며, 피아노 곡이나 가곡을 관현악이나 현악 합주로 편곡한 작품도 많다.[1]
3. 1. 작품 경향
그리그는 표트르 차이콥스키, 안토닌 드보르자크와 같은 선 굵은 작곡가는 아니었지만, 섬세한 서정시인적인 음악가였다. 그 때문에 오페라는 한 곡도 완성하지 못했고, 유일한 교향곡인 교향곡 다단조도 자신이 연주 금지곡으로 지정하여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 교향곡 이외의 소나타 형식을 사용한 대작에서도 쉽게 성공했다고 보기 힘들다. 구성력이나 주제의 논리적인 전개에 약한 면이 있었다. 유일한 예외는 피아노 협주곡 A단조(1868)로, 25세경 젊었을 때의 작품이다.그리그의 특징은 가곡에서 잘 드러나는데, 생애의 거의 대부분 시기에 걸쳐 작품을 썼으므로 그의 예술적 발자취를 잘 알 수 있다. 가곡 다음으로는 피아노 소곡이 중요하며, 10권 66곡으로 된 서정 소곡집 등 그 수가 가곡만큼 많다. 관현악곡 분야에서 성공한 것은 피아노 소곡 서정 소곡집 중에서 4곡 정도를 직접 오케스트레이션한 서정 모음곡(1891)이나 헨리크 입센의 극에 곡을 붙인 페르 귄트 모음곡(1874-1875) 등 소곡 모음이다. 그의 실내악곡 중에서는 비교적 연주 기회가 많은 제3바이올린 소나타(1878)도 실질적으로는 노르웨이의 노래와 춤을 접속곡처럼 만든 것이다.[1]
그리그는 피아노를 위해 수많은 소품을 작곡했으며, "북유럽의 쇼팽"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또한 피아노와 바이올린을 위한 3곡의 소나타를 작곡했다.[1]
수많은 그리그의 작품 중 헨리크 입센의 희곡 페르 귄트의 부수 음악과 피아노 협주곡 가단조가 일본에서 가장 유명하다.[1]
그러나 그리그의 본령은 서정 소곡집과 다수의 가곡에 대표되는 소품에 유감없이 발휘되었다. 피아노 곡이나 가곡을 관현악이나 현악 합주로 편곡한 작품도 많다.[1]
4. 주요 작품
그리그는 피아노를 위해 수많은 소품을 작곡했으며, "북유럽의 쇼팽"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또한 피아노와 바이올린을 위한 3곡의 소나타와 첼로 소나타를 작곡했다.
헨리크 입센의 희곡 『페르 귄트』의 부수 음악과 피아노 협주곡 가단조는 일본에서 가장 유명한 그리그의 작품이다. 그리그의 본령은 『서정 소곡집』과 다수의 가곡 등 소품에서 잘 드러난다.
4. 1. 관현악
작품 번호 | 작품명 | 작곡 연도 | 비고 |
---|---|---|---|
EG119 | 교향곡 다단조 | 1864 | |
Op.11 | 가을에 | 1865 | |
Op.40 | 홀베르크 모음곡 | 1884~5 | |
Op.46 | 페르 귄트 모음곡 1번 | 1875~6 | |
Op.55 | 페르 귄트 모음곡 2번 | 1875, 1891 | |
Op.64 | 교향 춤곡 | 1898 | |
Op.16 | 피아노 협주곡 가단조 | 1868 (1907년까지 수차례 개정) | |
Op.35 | 노르웨이 무곡 | 1881 (피아노 연탄판), 1888년경 (한스 시트에 의한 오케스트라 편곡판) | |
Op.50a | 『올라브 트리그바손』 모음곡 | 미완성 오페라에서 관현악 편곡 | |
Op.54 | 서정 모음곡 | 1904 | 서정 소곡집 제5집에서 4곡을 오케스트라 편곡 |
Op.64 | 교향적 무곡 | 1896 (피아노 연탄판), 1898 (오케스트라판) | |
교향곡 다단조 | 작품 번호 없음 | ||
Op.11 | 서곡 『가을에』 | ||
Op.51 | 오래된 노르웨이 멜로디와 변주 |
그리그는 피아노 곡이나 가곡을 관현악이나 현악 합주로 편곡한 작품도 많이 남겼다.
4. 2. 협주곡
피아노 협주곡 가단조 Op.16은 1868년에 작곡되었으며, 1907년까지 수차례 개정되었다.[1] 베토벤의 교향곡 5번 "운명"이나 바흐의 토카타와 푸가 라단조와 같이 "비극"을 연상시키는 배경음악으로 자주 사용된다.[6] 그리그는 이 곡에 대해 40년 동안 300회 이상 개정했다.[6]4. 3. 부수음악
헨리크 입센은 1867년에 희곡 『페르 귄트』를 완성했다. 1874년, 그리그가 31세였을 때 입센은 그리그에게 부수 음악 작곡을 의뢰했다. 그리그는 페르 귄트의 모험 이야기가 다소 음악적이지 않다고 생각하여 처음에는 당황했지만, "음악에 관해 그리그의 예술적인 자유를 보장한다"는 입센의 편지를 받고 작곡에 착수했다. 그리그는 고향 베르겐 근처 호숫가에 별장을 빌려 작곡에 전념했고, 1876년 2월 24일 오슬로(당시 크리스티아니아) 극장에서 『페르 귄트』가 초연되어 큰 갈채를 받았다.[1] 이후 파리와 코펜하겐 등에서 상연되면서 그리그의 명성은 유럽 전역에 퍼졌다. 그리그는 상연될 때마다 음악을 개정하고 수정했으며, 극음악 중 8곡을 편곡하여 두 개의 오케스트라용 모음곡으로 만들었다. 가장 널리 알려진 "아침"은 노르웨이가 아닌, 주인공 페르 귄트가 고향을 떠나 모로코로 건너가 미국과의 노예 무역 등으로 큰돈을 번 이야기를 하는 장면의 전주곡으로 사용되고 있다.[1]4. 4. 실내악
- 바이올린 소나타 1번 바장조 (Op.8, 1865년)
- 바이올린 소나타 2번 사장조 (Op.13, 1867년)
- 현악 사중주 1번 사단조 (Op.27, 1877~8년)
- 피아노 3중주 [안단테보다 조금 빠르게] 다단조 EG116 (1877년)
- 첼로 소나타 가단조 (Op.36, 1883년)
- 바이올린 소나타 3번 다단조 (Op.45, 1886~7년)
4. 5. 피아노
그리그는 피아노를 위해 수많은 소품을 작곡했으며, "북유럽의 쇼팽"이라고 불리기도 한다.제목 | 작품 번호 | 작곡 연도 |
---|---|---|
3개의 피아노 소곡집 | EG105 | 1860 |
4개의 피아노 소곡집 | Op.1 | 1861 |
유머레스크 | Op.6 | 1865 |
피아노 소나타 마단조 | Op.7 | 1865, 1867 |
노드라크를 기억하는 장송행진곡 가단조 | EG107 | 1866 |
서정 소곡집 제1권 | Op.12 | 1866~1867 |
25개의 노르웨이 민요와 춤곡 | Op.17 | 1869 |
노르웨이 민요에 의한 변주곡 형식의 발라드 | Op.24 | 1875~1876 |
노르웨이 춤곡 | Op.35 | 1881 |
서정 소곡집 제2권 | Op.38 | 1883 |
서정 소곡집 제3권 | Op.43 | 1886 |
서정 소곡집 제4권 | Op.47 | 1885~1888 |
서정 소곡집 제5권 | Op.54 | 1891 |
서정 소곡집 제6권 | Op.57 | 1893 |
서정 소곡집 제7권 | Op.62 | 1895 |
서정 소곡집 제8권 | Op.65 | 1896 |
19개의 노르웨이 민요 | Op.66 | 1896 |
서정 소곡집 제9권 | Op.68 | 1898~1899 |
서정 소곡집 제10권 | Op.71 | 1901 |
노르웨이 농민 춤곡 | Op.72 | 1902~1903 |
4. 6. 합창
4. 7. 가곡
그리그는 많은 가곡을 작곡했으며, 그의 가곡들은 그의 음악 세계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다음은 그리그의 주요 가곡들이다.- Jeg elsker Digda (그대를 사랑해) (작품 5-3, 1864년 - 1865년)
- Den Første Mødeno (첫 만남) (작품 21-1, 1870년 - 1872년)
- En Svaneno (백조) (작품 25-2, 1876년)
- Prinsessenda (공주) (작품 번호 없음, 1871년)
- Fra Monte Pinciono (몬테 핀초에서) (작품 39-1, 1870년)
- Solveigs Sangno (솔베이그의 노래) (작품 22, 1876년) - 헨리크 입센의 희곡 『페르 귄트』 중 한 곡이다.
- Vårenno (봄) (작품 33-2, 1880년)
- Den særdeno (상처 입은 마음) (작품 33-3, 1873년 - 1880년)
- Ein Traumde (세상은 그런 것) (작품 48-3, 1889년)
- 연작 가곡집 Haugtussano (산의 딸) (작품 67, 1896년 - 1898년)[1]
아래는 그리그의 가곡 목록이다.
작품 번호 | 제목 | 연도 |
---|---|---|
Op.5 | 사랑의 선율 | 1864 |
Op.25 | 6개의 노래 | 1876 |
Op.61 | 아이들의 노래 | 1894 |
EG177 | 6개의 노래 | 1895 |
Op.67 | 연가곡 산의 요정 | 1898 |
5. 평가 및 영향
그리그는 뛰어난 피아니스트로 명성이 높았으며, 자신의 곡으로 유럽을 여러 차례 연주 여행을 다녔다. 만년에 파리에서 피아니스트 라울 푸뇨의 권유로 그라모폰사의 SP반 어쿠스틱 녹음을 했고, 자동 피아노 피아노 롤도 남아 있다. SP반 복각본과 자동 피아노 녹음본은 현재도 CD로 구할 수 있다. 오리지널 SP반[36]은 중고 레코드 가게나 경매에서 고가로 거래되는 골동품이다.
그는 고향 노르웨이 베르겐의 자연과 바다를 매우 사랑했다. 습작 교향곡은 같은 노르웨이 작곡가 요한 스벤센의 교향곡을 듣고 봉인했다는 일화가 있다.
그는 평생 작은 개구리 조각상이나 아기 돼지 인형을 소중히 여겼으며, 연주회 때는 긴장하지 않기 위해 주머니 속에서 개구리 조각상을 쥐었다고 한다.
5. 1. 긍정적 평가
그리그는 생전에 뛰어난 피아니스트로도 명성이 높았으며, 자작곡으로 유럽을 여러 차례 연주 여행을 다녔다. 만년에 파리에서는 피아니스트 라울 푸뇨의 권유로 그라모폰사의 SP반 어쿠스틱 녹음에 녹음했고, 자동 피아노의 피아노 롤도 남아 있다. SP반을 복각한 것과 자동 피아노를 녹음한 것은 현재도 CD로 구할 수 있다. 오리지널 SP반[36]은 중고 레코드 가게나 경매에서 고가로 거래되는 골동품 레코드이다.그는 고향인 노르웨이 베르겐의 자연과 바다를 매우 사랑했다. 작품 번호가 붙지 않은 습작 교향곡은 같은 노르웨이 작곡가 요한 스벤센의 교향곡을 듣고 봉인했다는 일화가 있다.
그리그는 평생 손바닥 안에 들어갈 정도의 작은 개구리 조각상이나 아기 돼지 인형을 소중히 여겼으며, 잠을 잘 때도 함께 했다고 한다. 연주회 때는 긴장하지 않기 위해 주머니 속에서 개구리 조각상을 살며시 쥐었다고 한다.
5. 2. 부정적 평가
제공된 원본 자료에는 Edvard Grieg영어에 대한 부정적 평가 내용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해당 섹션에는 내용을 작성할 수 없다.5. 3. 영향
그리그는 생전에 뛰어난 피아니스트로도 명성이 높았으며, 자신의 곡을 가지고 유럽을 여러 차례 연주 여행을 다녔다. 만년에 파리에 갔을 때 피아니스트 라울 푸뇨의 권유로 그라모폰사의 SP반 어쿠스틱 녹음을 하였고, 자동 피아노 피아노 롤도 남아 있다. SP반을 복각한 것과 자동 피아노를 녹음한 것은 현재도 CD로 구할 수 있다. 오리지널 SP반[36]은 중고 레코드 가게나 경매에서 고가로 거래되는 골동품 레코드이다.그는 고향인 노르웨이의 옛 수도 베르겐의 자연과 바다를 매우 사랑했다. 사후 화장되었으며, 유언에 따라 트롤하우겐의 저택 아래에 있는 호수를 바라보는 암벽에 묘가 만들어졌고, 일부 유해는 호수에 뿌려졌다.
작품 번호가 붙지 않은 습작인 교향곡은, 같은 노르웨이 작곡가 요한 스벤센의 교향곡을 듣고 봉인했다는 일화가 있다.
그리그는 평생 손바닥 안에 들어갈 정도의 작은 개구리 조각상이나 아기 돼지 인형을 소중히 여겼고, 잠을 잘 때도 함께 했다고 한다. 연주회 때는 긴장하지 않기 위해 주머니 속에서 개구리 조각상을 살며시 쥐었다고 한다. 이 개구리 조각상과 아기 돼지 인형은 그리그의 집(현재 에드바르 그리그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6. 유산
그리그는 노르웨이 베르겐의 자연과 바다를 매우 사랑했다. 사후 화장되었으며, 유언에 따라 트롤하우겐 저택 아래 호수를 바라보는 암벽에 묘가 만들어졌고, 일부 유해는 호수에 뿌려졌다.
그는 평생 손바닥 안에 들어갈 정도의 작은 개구리 조각상이나 아기 돼지 인형을 소중히 여겼으며, 잠을 잘 때도 함께 했다고 한다. 연주회 때는 긴장하지 않기 위해 주머니 속에서 개구리 조각상을 살며시 쥐었다고 한다. 이 개구리 조각상과 아기 돼지 인형은 현재 에드바르 그리그 박물관으로 사용되는 그리그의 집에 전시되어 있다.
소행성 (4872) 그리그는 그리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37]
참조
[1]
서적
Grieg: Music, Landscape and Norwegian Identity
Boydell Press
[2]
웹사이트
Grieghallen
http://www.bergenbya[...]
Bergen byleksikon
2017-09-01
[3]
웹사이트
Griegakademiet
https://web.archive.[...]
Universitetet i Bergen
2017-09-01
[4]
웹사이트
Edvard Grieg Museum Troldhaugen
https://web.archive.[...]
KODE
2017-09-01
[5]
웹사이트
About Edvard Grieg Kor
https://web.archive.[...]
Edvard Grieg Kor
2017-09-01
[6]
간행물
Edvard Grieg
http://www.snl.no/.n[...]
Kunnskapsforlaget
2011-09-10
[7]
웹사이트
The Origins of the Greig Family Name
https://web.archive.[...]
2019-08-04
[8]
Grove Music Online
Grieg, Edvard
http://www.oxfordmus[...]
[9]
뉴스
Edvard Grieg proudly carried Fraserburgh memento with him throughout his life
https://www.pressand[...]
Press and Journal
2019-05-23
[10]
서적
Banff & Buchan: An Illustrated Architectural Guide
Mainstream Publications Ltd.
1990
[11]
서적
Grieg
Omnibus Press
1998
[12]
harvnb
[13]
Grove Music Online
Moscheles, Ignaz
//www.oxfordmusiconl[...]
2014-06-30
[14]
웹사이트
Edvard Grieg – Leipzig Conservatory
http://greatcomposer[...]
The Fryderyk Chopin Institute
[15]
논문
Edvard Grieg's health and his physicians
1993-12
[16]
웹사이트
Grieg Museum
https://web.archive.[...]
2018-06-24
[17]
웹사이트
Edvard Grieg
https://snl.no/Edvar[...]
Store norske leksikon
2017-09-01
[18]
웹사이트
Nina Grieg
https://nbl.snl.no/N[...]
Norsk biografisk leksikon
2017-09-01
[19]
웹사이트
Edvard Grieg (1843–1907)
https://web.archive.[...]
Norwegian State Academy of Music in Oslo
2017-09-01
[20]
웹사이트
GRIEG, E.: Orchestral Music, Vol. 7 - Olav Trygvason / Landkjenning / Sigurd Jorsalfar (excerpts) (Malmo Symphony, Engeset)
https://web.archive.[...]
2021-09-03
[21]
웹사이트
..About Edvard Grieg {{!}} Troldhaugen...
https://web.archive.[...]
2021-09-03
[22]
웹사이트
First Impressions, Edvard Grieg
https://web.archive.[...]
2006-10-11
[23]
웹사이트
Piano Concerto in A minor, Op. 16
https://web.archive.[...]
2006-10-11
[24]
서적
Life With Queen Victoria
https://archive.org/[...]
Houghton Mifflin
1968
[25]
문서
Edvard Grieg in England
Boydell
[26]
뉴스
Grieg the Humanist Brought to Light
http://www.dagbladet[...]
Dagbladet
[27]
뉴스
I Have No Desire...
https://www.haaretz.[...]
Haaretz
2017-12-02
[28]
서적
Percy Grainger
Oxford University Press
1999
[29]
서적
Minä elän ja muita viimeisiä sanoja
WSOY
2005
[30]
웹사이트
Edvard and Nina Grieg
https://web.archive.[...]
Unitarian Universalist Association
2013-12-10
[31]
웹사이트
The Life and Works of Edvard Grieg
http://digitalcommon[...]
Utah State University
2014-12-03
[32]
news
Grieg: Illustrated Lives of the Great Composers
Omnibus Press
[33]
웹사이트
WorldCat.org: The World's Largest Library Catalog
https://www.worldcat[...]
2021-09-01
[34]
Forvo
ノルウェー語の発音例
https://ja.forvo.com[...]
[35]
웹사이트
小林研一郎指揮日本フィルのシベリウス「交響曲第2番」
https://style.nikkei[...]
NIKKEI STYLE
2018-08-04
[36]
서적
名曲決定盤
[37]
웹사이트
"(4872) Grieg = 1975 XL6 = 1986 EV1 = 1989 YH7"
https://www.minorpla[...]
2022-07-11
[38]
서적
Grieg: Music, Landscape and Norwegian Identity
https://archive.org/[...]
Boydell Press
[39]
백과사전
Edvard Grieg
http://www.snl.no/.n[...]
Kunnskapsforlaget
2011-09-10
[40]
웹인용
The Origins of the Greig Family Name
http://www.greig.org[...]
2019-08-04
[41]
뉴스
Grieg, Edvard
http://www.oxfordmus[...]
Oxford Music Online, Oxford University Press
2013-11-11
[42]
웹인용
Alexander (Greig) Grieg (1739-1803) {{!}} WikiTree FREE Family Tree
https://www.wikitree[...]
2021-11-03
[43]
뉴스
Edvard Grieg proudly carried Fraserburgh memento with him throughout his life
https://www.pressand[...]
Press and Journal
2019-05-23
[44]
서적
Banff & Buchan: An Illustrated Architectural Guide
Mainstream Publications Ltd.
1990
[45]
서적
Wondrous Strange: The Life and Art of Glenn Gould
https://books.google[...]
McClelland & Stewar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